메뉴 건너뛰기

사회적약자 해결완료

[천사식당] - 천사들이 운영하는 무료급식소를 찾아 가는 길 동행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천사식당 앱 1차 목표 단계별 구현 내용]
1. 모바일 지도 렌더링
- Naver Map API 활용하여 핸드폰 화면 전체비율로 지도를 출력
- Retrofit으로 서버와 HTTP 통신하여 사용자 위치, 지도 화면 반경 내에 존재하는 무료급식소 위치를 마커 등의 백터 그래픽으로 출력
2. 찾고자 하는 무료급식소 검색
- Retrofit으로 서버와 HTTP 통신하여 급식소의 이름 혹은 급식소 지번주소에 포함된 명칭을 검색어로 하여 해당 무료급식소를 조회
3. 지정한 무료급식소 상세 정보 조회
- Retrofit으로 서버와 HTTP 통신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급식소 관련 급식 시간, 요일, 대상 등 상세 정보 제공
4. 사용자 지정 즐겨찾기 기능 제공
- Room Local Database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급식소만을 저장하고 언제든지 저장한 내용을 확인 가능
5. 무료급식소 경로 안내
- Naver Direction 5 API 사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
- 무료급식소까지의 경로를 오버레이로 렌더링 하여 상세한 경로를 안내

[천사식당 앱 서버 1차 목표 단계별 구현 내용]
1. 서버 인프라 구축
- PAAS 인 Heroku 실행 앱을 통해 꺼지지 않는 환경을 생성
- NodeJS 빌드팩을 패치하여 NodeJS 서버 저장소 내용을 즉각 빌드하고 배포하는 반응형 연동 설정
- MySQL의 JawsDB, 자동화 작업의 Heroku Scheduler 등 앱 서비스 개발 내용에 관련된 애드온 추가 및 서버 저장소에 연동하여 원활한 개발 환경 조성
2. 전국무료급식소 정보 취득 및 활용
- 관련 API를 호출하는 HTTP 요청 트리거를 NodeJS 서버 저장소를 통해 생성하고 스케줄러에 연동하여 하루 단위로 자동화 작업 실행
- 호출의 응답 값인 급식소 데이터를 nodejs 언어로 파싱 하고 서버 저장소에 연동된 DB에 저장 처리 하여 전국무료급식소 데이터를 관리
- mysql 쿼리문을 통해 급식소 상세 정보조회, 주어진 위치 반경내의 급식소들의 위치를 검색 하는 등 급식소 관련 CRUD 작업 수행
3. 앱과 서버와의 통신
- NodeJS 서버 저장소에 REST API 서버를 생성하여 프론트인 앱과 서버간의 요청&응답 같은 상호작용 작업을 작성 및 배포
- Swagger API를 사용하여 구축된 서버의 API 엔드포인트 하나 당 들어가는 요청 그리고 응답 작업 내용의 설명을 문서화 하여 프론트 파트 작업자들에게 도움을 제공

업로드 된 자료내용은
1. 프로젝트 진행에 관련하여 온라인 미팅 디스코드 화면 캡쳐본
2.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스케줄과 이슈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지라 플랫폼 일부분 캡쳐본

과제 해결 과정을 작성하여 파일을 올려 현황을 공유하세요.

현재 0명이 공감했습니다.

공감하기

현재 0명이 신청했습니다. 과제에 도움을 주세요!

참여신청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