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약자
해결완료
시각 장애인을 위한 버스 승하차 시스템
프로젝트 개요
일반인은 대중교통을 이용함에 있어 불편한 점이 없지만, 시각장애인은 대중교통을 이용함에 있어 타고자 하는 버스의 식별이 불편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불편함을 덜고자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하여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소에 타고자하는 가장 가까운 버스의 승/하차를 도우는 버스 승하차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해당 서비스의 주된 고객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하여 사용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터치 입력은 최소화하고 음성인식(TTS 및 STT))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 값을 전달 하도록 구현하며,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약된 버스 정보는 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알림이 전송되어 승/하차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하차 벨을 찾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어플리케이션의 버튼으로 하차의도를 알려, 버스 내부의 하차벨을 찾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사전 조사
- 시각장애인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불편했던 부분을 수집하기 위해 정보 수집
- 시각 장애인의 스마트폰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수집
- 버스 정보 관련 API
- 웹, 서버 통신 관련 사전 지식
- JWT 토큰
관련 기술 설명
1.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단순한 앱 설계
- 애플리케이션의 주된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하고 TTS와 STT를 활용한 입력과 애플리케이션 UI/UX 인터페이스를 단편화 하였다.
2. 시각장애인을 위한 TTS / STT 기술
- 앱의 모든 관련 정보는 TTS 기술을 통해 글자를 소리로 읽어 준다.
- 앱의 입력되는 대부분은 STT를 통해 입력 가능하다.
3. 휴대폰 위치를 기반으로 한 예약 자동화
- 사용자가 타고자 하는 버스 번호만 입력하면 국토 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버스 API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소의 예약 하고자하는 버스를 예약 가능하다.
- 상기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해야하는 값은 타고자 하는 버스 번호만 입력 받는다.
4. 버스 예약 및 버스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계정 관리 웹 페이지
- 예약된 버스들의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 버스 계정에 등록하고자하는 정보들을 추가, 삭제, 조회할 수 있다.
5. 국토 교통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API 활용
- 공공데이터 포탈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신뢰성 있는 버스 API를 사용한다.
** 서울 및 부산등 특정 도시의 버스 정보를 국토 교통부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6. Pusha 푸시 알림 서버 구축
- 네트워크 소켓을 활용한 푸시 알림서버를 직접 구축하여 사용자 앱, 버스 전용 앱 사이의 알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7. Docker를 이용한 환경 구축
- 개발 환경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Docker를 이용하였다.
일반인은 대중교통을 이용함에 있어 불편한 점이 없지만, 시각장애인은 대중교통을 이용함에 있어 타고자 하는 버스의 식별이 불편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불편함을 덜고자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하여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소에 타고자하는 가장 가까운 버스의 승/하차를 도우는 버스 승하차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해당 서비스의 주된 고객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하여 사용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터치 입력은 최소화하고 음성인식(TTS 및 STT))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 값을 전달 하도록 구현하며,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약된 버스 정보는 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알림이 전송되어 승/하차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하차 벨을 찾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어플리케이션의 버튼으로 하차의도를 알려, 버스 내부의 하차벨을 찾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사전 조사
- 시각장애인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불편했던 부분을 수집하기 위해 정보 수집
- 시각 장애인의 스마트폰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수집
- 버스 정보 관련 API
- 웹, 서버 통신 관련 사전 지식
- JWT 토큰
관련 기술 설명
1.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단순한 앱 설계
- 애플리케이션의 주된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하고 TTS와 STT를 활용한 입력과 애플리케이션 UI/UX 인터페이스를 단편화 하였다.
2. 시각장애인을 위한 TTS / STT 기술
- 앱의 모든 관련 정보는 TTS 기술을 통해 글자를 소리로 읽어 준다.
- 앱의 입력되는 대부분은 STT를 통해 입력 가능하다.
3. 휴대폰 위치를 기반으로 한 예약 자동화
- 사용자가 타고자 하는 버스 번호만 입력하면 국토 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버스 API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소의 예약 하고자하는 버스를 예약 가능하다.
- 상기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해야하는 값은 타고자 하는 버스 번호만 입력 받는다.
4. 버스 예약 및 버스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계정 관리 웹 페이지
- 예약된 버스들의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 버스 계정에 등록하고자하는 정보들을 추가, 삭제, 조회할 수 있다.
5. 국토 교통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API 활용
- 공공데이터 포탈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신뢰성 있는 버스 API를 사용한다.
** 서울 및 부산등 특정 도시의 버스 정보를 국토 교통부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6. Pusha 푸시 알림 서버 구축
- 네트워크 소켓을 활용한 푸시 알림서버를 직접 구축하여 사용자 앱, 버스 전용 앱 사이의 알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7. Docker를 이용한 환경 구축
- 개발 환경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Docker를 이용하였다.
과제 해결 과정을 작성하여 파일을 올려 현황을 공유하세요.
현재 1명이 공감했습니다.
공감하기
의견 0
참여 요청사항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