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약자
해결완료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점 음료 안내 서비스 (BeYerage)
프로젝트 간단 설명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편의점이란 평균적으로 주당 3회이상 방문하는 삶에 아주 밀접한 장소입니다. 이처럼 편의점은 계속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며 더 많은 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편의점 이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는것은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겪는 가장 대표적인 인원이 시각장애인이라 저희는 생각하였습니다.
캔음료의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내용이 '음료', '탄산' 등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규격이 비슷한 캔음료를 명확히 구분해내는 것이 힘든 상황입니다. 저희 BeYerage 프로젝트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점 음료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음료를 혼자서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음료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앱 사용, 객체인식, 터치인식까지 총 세 가지 방법으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의 편의점 이용률이 높아지고 구매 활동을 촉진하는 동시에 음료 접촉 횟수를 줄여 간접 접촉을 방지하므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술설명
1. 객체인식 및 머신러닝 활용
- OpenCV와 Tensorflow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를 객체로 잡고 해당 객체가 가리키는 위치를 파악합니다.
- 사용자는 편의점 냉장고 앞에서 손가락으로 지목하면 해당 위치의 음료 정보를 안내받습니다.
2.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 사용자가 앱 진입 시, 음성으로 3개의 버튼에 대해 안내해 버튼을 클릭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검색하고자 할 때 구글의 STT 엔진을 사용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 서버로부터 수신한 각 데이터를 음성으로 안내합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해 청각적 정보 제공을 해야 하므로 구글의 TTS 엔진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안내합니다.
- 키워드 장소검색 기능으로 사용자 위치 기반 주변 편의점들을 마커로 표시 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현위치 기반 가장 가까운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합니다.
3.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단순한 앱 UI
- 색채 대비를 이용해 버튼의 글자를 강조했습니다.
단순한 화면 구성과 음성 안내를 중심으로 한 설계로, 시각장애인의 앱 사용에 큰 불편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4. 편의점 관리자 홈페이지
- 편의점마다 음료들의 배치는 다 다르므로, 해당 편의점의 점주나 매니저가 음료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해야 합니다.
- 관리자를 위한 웹 사이트를 제작함으로써 새로운 음료가 해당 편의점에 추가되면 음료 추가를 손쉽게 할 수 있고, 냉장고에 있는 음료의 배치가 바뀌면 배치를 손쉽게 바꿀 수 있도록 관리자 웹 사이트 기능을 구축하였습니다.
5. 공공 API 활용
- Kakao Map API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마커로 표시
- 키워드 장소검색 기능으로 사용자 위치 기반 주변 편의점들을 마커로 표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현위치 기반 가장 가까운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합니다.
관련자료
1. BeYerage 앱 진입시 최초 화면 - 앱 아이콘과 BeYerage 문구를 배치해 구성했습니다.
2. BeYerage 앱 서비스 화면 - 대비가 높은 색(검정, 빨강)을 사용해 시각장애인들이 잔존 시각을 이용해 버튼을 구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3. BeYerage 관리자 홈페이지 화면 - 편의점 관리자들이 홈페이지를 이용해 음료 상세정보, 위치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4. 편의점에서의 직접적인 시연을 통해 객체인식을 진행하여 이용자가 지목한 편의점음료 안내를 제공하였습니다.
5. 편의점에서의 직접적인 시연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용자가 음료를 안내하는 네임택을 터치시 해당되는음료의 안내를 제공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편의점이란 평균적으로 주당 3회이상 방문하는 삶에 아주 밀접한 장소입니다. 이처럼 편의점은 계속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며 더 많은 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편의점 이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는것은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겪는 가장 대표적인 인원이 시각장애인이라 저희는 생각하였습니다.
캔음료의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내용이 '음료', '탄산' 등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규격이 비슷한 캔음료를 명확히 구분해내는 것이 힘든 상황입니다. 저희 BeYerage 프로젝트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점 음료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음료를 혼자서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음료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앱 사용, 객체인식, 터치인식까지 총 세 가지 방법으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의 편의점 이용률이 높아지고 구매 활동을 촉진하는 동시에 음료 접촉 횟수를 줄여 간접 접촉을 방지하므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술설명
1. 객체인식 및 머신러닝 활용
- OpenCV와 Tensorflow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를 객체로 잡고 해당 객체가 가리키는 위치를 파악합니다.
- 사용자는 편의점 냉장고 앞에서 손가락으로 지목하면 해당 위치의 음료 정보를 안내받습니다.
2.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 사용자가 앱 진입 시, 음성으로 3개의 버튼에 대해 안내해 버튼을 클릭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검색하고자 할 때 구글의 STT 엔진을 사용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 서버로부터 수신한 각 데이터를 음성으로 안내합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해 청각적 정보 제공을 해야 하므로 구글의 TTS 엔진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안내합니다.
- 키워드 장소검색 기능으로 사용자 위치 기반 주변 편의점들을 마커로 표시 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현위치 기반 가장 가까운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합니다.
3.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단순한 앱 UI
- 색채 대비를 이용해 버튼의 글자를 강조했습니다.
단순한 화면 구성과 음성 안내를 중심으로 한 설계로, 시각장애인의 앱 사용에 큰 불편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4. 편의점 관리자 홈페이지
- 편의점마다 음료들의 배치는 다 다르므로, 해당 편의점의 점주나 매니저가 음료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해야 합니다.
- 관리자를 위한 웹 사이트를 제작함으로써 새로운 음료가 해당 편의점에 추가되면 음료 추가를 손쉽게 할 수 있고, 냉장고에 있는 음료의 배치가 바뀌면 배치를 손쉽게 바꿀 수 있도록 관리자 웹 사이트 기능을 구축하였습니다.
5. 공공 API 활용
- Kakao Map API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마커로 표시
- 키워드 장소검색 기능으로 사용자 위치 기반 주변 편의점들을 마커로 표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현위치 기반 가장 가까운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합니다.
관련자료
1. BeYerage 앱 진입시 최초 화면 - 앱 아이콘과 BeYerage 문구를 배치해 구성했습니다.
2. BeYerage 앱 서비스 화면 - 대비가 높은 색(검정, 빨강)을 사용해 시각장애인들이 잔존 시각을 이용해 버튼을 구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3. BeYerage 관리자 홈페이지 화면 - 편의점 관리자들이 홈페이지를 이용해 음료 상세정보, 위치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4. 편의점에서의 직접적인 시연을 통해 객체인식을 진행하여 이용자가 지목한 편의점음료 안내를 제공하였습니다.
5. 편의점에서의 직접적인 시연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용자가 음료를 안내하는 네임택을 터치시 해당되는음료의 안내를 제공하였습니다.
' 서울 시각장애인 복지관 ' 에 문의를 통하여,
시각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편의점 음료 안내 서비스가 독창적인 아이디어 이며, 아직까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관이나 관련 기관은 없다는 사실을 전달 받았습니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복지관 또는 시설들 중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작 및 지원하며 시각자애인을 대상으로 한 기관은 흔치 않은 상황에서
저희는 '서울 시각장애인 복지관'의 추천으로 이러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기관과의 연결을 주선 받았습니다.
이러한 주선을 통해 저희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때의 주의사항 및 여러 조언들을 기대할수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더원 서울 안과의원 '에 해당 프로젝트인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점 음료 안내 서비스에 대한 의견과 조언을 들었습니다. 병원내 실장님과의 비대면 면담을 통해, 이러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안내 서비스에 대해서 여러 조언을 들을수가 있었습니다. 특히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나름대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어플리케이션을 많이 조사하였고, 개선사항이라고 생각한 부분에 대해서 오히려 개선사항이 시각장애인 이용자로 하여금 혼동을 줄수있는 안내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이를 통해 더욱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을 개발할수 있는 조언을 얻을수가 있었습니다.
' GS 25 편의점 '를 통하여, 저희 프로젝트가 실제 편의점에서 사용가능한지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에 대해 문의를 하였고, 본사 직원분을 통하여,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점 음료 안내 서비스에 대한 시현 기회를 얻을수가 있었습니다.
시각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편의점 음료 안내 서비스가 독창적인 아이디어 이며, 아직까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관이나 관련 기관은 없다는 사실을 전달 받았습니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복지관 또는 시설들 중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작 및 지원하며 시각자애인을 대상으로 한 기관은 흔치 않은 상황에서
저희는 '서울 시각장애인 복지관'의 추천으로 이러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기관과의 연결을 주선 받았습니다.
이러한 주선을 통해 저희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때의 주의사항 및 여러 조언들을 기대할수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더원 서울 안과의원 '에 해당 프로젝트인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점 음료 안내 서비스에 대한 의견과 조언을 들었습니다. 병원내 실장님과의 비대면 면담을 통해, 이러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안내 서비스에 대해서 여러 조언을 들을수가 있었습니다. 특히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나름대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어플리케이션을 많이 조사하였고, 개선사항이라고 생각한 부분에 대해서 오히려 개선사항이 시각장애인 이용자로 하여금 혼동을 줄수있는 안내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이를 통해 더욱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을 개발할수 있는 조언을 얻을수가 있었습니다.
' GS 25 편의점 '를 통하여, 저희 프로젝트가 실제 편의점에서 사용가능한지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에 대해 문의를 하였고, 본사 직원분을 통하여,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점 음료 안내 서비스에 대한 시현 기회를 얻을수가 있었습니다.
현재 2명이 공감했습니다.
공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