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약자
해결완료
사회적 약자를 위한 문서 요약 어플리케이션 별다줄
해결 아이디어 :
휴대폰 어플 환경에서 문서 요약 기술인 BERT Sum 기술을 적용하여 이해가 어려운 긴 문서를 짧은 문장으로 요약하여 정보 소외 계층에게 더욱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어플 활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정해진 흐름을 따르고 쉽게 사진만 찍으면 동작하도록 진행한다.
해결 과정 :
1. 사진을 통한 문서 입력 : 어플을 통해 문서 사진을 업로드하면 Tesserect 기술을 사용하여 텍스트 추출
2. BERTSum 모델을 한국어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fine-tuning(훈련):
BERTSum 모델은 Nlpyang의 BERTSum(https://arxiv.org/pdf/1903.10318.pdf)모델을 사용하였습니다.
훈련 데이터는 AI hub에서 제공하는 문서요약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데이터 전처리(형태소분리) 를 위하여 ETRI에서 제공하는 Pre-trained BERT모델을 사용하였습니다.
3. 어플을 통한 데이터 전송 : FAST API를 사용하여 어플에서 Restful 통신하여 요약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4. 결과 저장 및 조회 : 어플을 통하여 요약문 정보를 기기 내부의 text파일을 이용하여 저장하고, 이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폰 어플 환경에서 문서 요약 기술인 BERT Sum 기술을 적용하여 이해가 어려운 긴 문서를 짧은 문장으로 요약하여 정보 소외 계층에게 더욱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어플 활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정해진 흐름을 따르고 쉽게 사진만 찍으면 동작하도록 진행한다.
해결 과정 :
1. 사진을 통한 문서 입력 : 어플을 통해 문서 사진을 업로드하면 Tesserect 기술을 사용하여 텍스트 추출
2. BERTSum 모델을 한국어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fine-tuning(훈련):
BERTSum 모델은 Nlpyang의 BERTSum(https://arxiv.org/pdf/1903.10318.pdf)모델을 사용하였습니다.
훈련 데이터는 AI hub에서 제공하는 문서요약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데이터 전처리(형태소분리) 를 위하여 ETRI에서 제공하는 Pre-trained BERT모델을 사용하였습니다.
3. 어플을 통한 데이터 전송 : FAST API를 사용하여 어플에서 Restful 통신하여 요약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4. 결과 저장 및 조회 : 어플을 통하여 요약문 정보를 기기 내부의 text파일을 이용하여 저장하고, 이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과제 해결 과정을 작성하여 파일을 올려 현황을 공유하세요.
한국지적발달장애복지협회 자문 내용
Q: 현재 개발하는 서비스가 실제 발달장애인분들에게 효용성이 있을지에 관하여
A: 현재 발달장애인분들을 위해서 easy 문서, easy 책등이 실제로 제작이 되고 있기 때문에 잘 구현이 된다면 효용성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달장애인 외에도 다문화 가정같이 한글에 익숙하지 않거나 긴 글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노인분들에게 돌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비장애인이 느끼는 요약과 서비스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 점 유의해서 구현했으면 좋겠다.
Q: 현재 개발하는 서비스가 실제 발달장애인분들에게 효용성이 있을지에 관하여
A: 현재 발달장애인분들을 위해서 easy 문서, easy 책등이 실제로 제작이 되고 있기 때문에 잘 구현이 된다면 효용성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달장애인 외에도 다문화 가정같이 한글에 익숙하지 않거나 긴 글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노인분들에게 돌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비장애인이 느끼는 요약과 서비스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 점 유의해서 구현했으면 좋겠다.
현재 0명이 공감했습니다.
공감하기
의견 0
참여 요청사항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주세요.